TaskQoS



TECHNOLOGY
About IP QoS
TaskQoS




전용선 임대사업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더 이상 신규고객 유치가 어렵게 되자, ISP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서비스 품질관리]와 [고객만족 향상]이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최근 ISP들이 전용선 서비스에 대한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도입함에 따라 전용선 서비스에 대한 품질 보장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날로 증가하는 P2P와 Worm 바이러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나아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중요 서비스 보장 및 불필요한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 트래픽 품질관리를 통한 안정적인 고품질의 서비스(SLA) 제공 기능

- 상위 Heavy User, Application, IP별로 Traffic 사용 현황 분석 기능

- 지역 국사별 네트웍을 본사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안

- 향후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는 Customizing 대응력

- 빠르고 정확한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능

- QoS 통과시 Packet loss가 없어야 함(QoS Performance)

- 무중단 서비스를 위한 완벽한 Fail-Over 기능

- 관리의 편의성과 업무 효율화를 위한 보고서 기능


하나로텔레콤은 국내 대표ISP로서, 서비스 품질 향상을 통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QoS 도입을 고려하던 중 TaskQoS를 접하고 외산장비와 함께 경쟁 BMT를 시행하였으며, 먼저 검토했던 외산장비와 비교하여 [사용 편의성], [가격 경쟁력], [우수한 성능]에 만족, TaskQoS를 선택하였다. 하나로텔레콤 품질관리 관계자는 도입 이유에 대해 "외산장비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과 우수한 성능에 만족하였다. 가격이 저렴하다 해도 성능과 기능이 부족하다면 결코 도입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의 무한한 성능개선을 기대하기 때문이다."라면서 TaskQoS가 가격, 성능, 편의성, 가용성에서 외산장비에 앞서고 있음을 입증해 주었기 때문이다.


- 효과적인 대역폭 할당 기능으로 안정적인 SLA 구현

- 서비스망 품질개선으로 보다 향상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수익구조 개선 기대

- 외산장비 대비 성능/가격 경쟁력

- 외산장비 대비 높은 편의성/가용성v - TQLog를 통한 네트워크 분석 및 관리 업무의 효율화

- TQCMS를 이용한 중앙통합관리로 하부 네트워크 관리 용이

- 안정적인 유지보수

- NSTEK, 향후 발전 가능한 기술력 보유

- Customizing을 통한 하나로텔레콤 HiTMS 시스템 구축